본문 바로가기
생활 꿀팁/절약 꿀팁

보금자리론 vs 디딤돌대출: 한눈에 보는 차이와 선택 기준

by 민숑칼럼 2025. 11. 17.

보금자리론 vs 디딤돌대출

 

내 집 마련 첫 단계, 어떤 정책대출이 내게 맞을까?

처음 집을 사려는 사람이라면 가장 먼저 듣게 되는 단어가 있습니다. 바로 “보금자리론”“디딤돌대출”입니다. 두 대출 모두 정부가 지원하는 서민·실수요자용 주택담보대출이지만, 조건과 금리, 대상은 꽤 다릅니다.

핵심 요약
보금자리론 = 폭넓은 대상, 고정금리, 주택금융공사 운영
디딤돌대출 = 소득·자산 요건 강화, 금리 더 저렴, 주택도시기금 운영

1) 운영 주체와 성격

구분 보금자리론 디딤돌대출
운영기관 한국주택금융공사(HF) 국토교통부·주택도시기금(HUG)
대출 성격 중산층 포함 폭넓은 대상 저소득·신혼·청년 중심 서민층
금리 형태 고정금리 중심 고정·혼합금리 선택 가능

즉, 보금자리론은 안정형, 디딤돌대출은 지원형 대출입니다.

2) 기본 자격 비교

항목 보금자리론 디딤돌대출
소득 기준 부부합산 1억원 이하 (신혼·다자녀 시 1.3억) 부부합산 6천만~7천만원 이하
주택 가격 9억원 이하 5억원 이하
대출 한도 최대 5억원 최대 2.5억원
대상 무주택자 또는 1주택 처분조건부 가능 무주택자만 가능
금리 약 3.5~4.3% 약 2.5~3.3%
상환 기간 10~40년 10~30년
💡 보금자리론은 대상이 넓지만 금리가 약간 높고, 디딤돌대출은 조건이 까다롭지만 금리가 낮습니다.

3) 대출금리 세부 구조

구분 보금자리론 디딤돌대출
기본금리 3.55%~4.05% 2.55%~3.25%
우대금리 신혼부부, 다자녀, 사회적배려층 등 -0.1~0.4% 청년·신혼·다자녀 -0.2~0.5%
상환유형 고정금리(원리금균등) 고정 또는 혼합금리

4) 우대 조건 및 가산금리

  • 💍 신혼부부: 혼인 7년 이내 또는 예정자
  • 👶 다자녀가구: 자녀 수에 따라 금리 우대 확대
  • 🧑‍💼 사회적배려층: 장애인, 한부모, 군복무자 등
  • 🏠 저탄소·신축 주택: 친환경 인증 시 금리 인하
예: 디딤돌대출 기본금리 3.0% → 신혼 + 다자녀 + 친환경주택 = 실질금리 2.3% 가능

5) 대출 구조 차이

① 보금자리론

- 주택금융공사(HF)가 은행 대출을 매입하여 장기 고정금리로 전환해주는 상품입니다. - 금리 상승기에도 금리가 고정되어 장기 안정성이 장점입니다.

② 디딤돌대출

- 주택도시기금에서 직접 자금을 공급하여 저금리로 지원하는 정책형 대출입니다. - 대신 소득·자산·주택가액 요건이 더 엄격합니다.

6) 실제 적용 예시

예시 1|맞벌이 신혼부부 (합산소득 1억, 6억 주택 구입)

👉 보금자리론 가능 (LTV 70%, 최대 4.2억 대출)
❌ 디딤돌대출 불가 (소득 초과)

예시 2|외벌이 부부 (소득 6천, 4억 주택 구입)

✅ 보금자리론 가능 (금리 3.6%) ✅ 디딤돌대출도 가능 (금리 약 2.7%) 👉 이 경우 디딤돌대출이 훨씬 유리

예시 3|청년 단독 세대 (소득 4천, 3억 주택 구입)

✅ 디딤돌대출 가능 (청년우대) ❌ 보금자리론 가능하지만 금리 메리트 적음

7) 금리와 월 상환액 비교

30년 원리금균등상환 기준

대출금액 보금자리론(3.9%) 디딤돌대출(2.7%)
3억원 월 1,418,000원 월 1,228,000원
4억원 월 1,890,000원 월 1,637,000원
5억원 월 2,362,000원 월 2,046,000원
💡 동일 금액 대출 시 월 상환 차이 약 20~30만원 발생 → 장기적으론 1,000만원 이상 차이 가능

8) 신청 절차

  1. 대출 자격 확인 (소득·주택가 기준)
  2. 은행 또는 온라인 신청 (HF·기금e든든)
  3. 심사 및 서류 검토
  4. 승인 후 실행 및 등기 절차

보금자리론은 주택금융공사, 디딤돌대출은 주택도시기금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9) 장단점 총정리

항목 보금자리론 디딤돌대출
장점 소득기준 완화 / 장기 고정금리 / 높은 한도 금리 낮음 / 청년·신혼 우대 / 지원금 구조
단점 금리 약간 높음 / 심사기간 다소 길음 소득·주택요건 엄격 / 한도 적음
추천대상 중산층, 맞벌이 신혼부부 청년, 외벌이, 서민층

10) 실전 선택 가이드

  • 💡 소득이 7천만 원 이하라면 → 디딤돌대출
  • 💡 부부합산 1억 이상 or 6억 이상 주택이면 → 보금자리론
  • 💡 고정금리 선호 & 장기 거주 계획 → 보금자리론
  • 💡 초기 이자 부담 최소화 원할 때 → 디딤돌대출

결론|두 대출은 ‘소득기준’으로 갈린다

보금자리론과 디딤돌대출은 같은 정부정책이지만, 소득과 주택가액에 따라 완전히 다른 층을 지원합니다.

요약하면,

보금자리론 = 넓은 대상 + 안정금리
디딤돌대출 = 엄격한 조건 + 더 낮은 금리

결국 내게 맞는 대출은 “소득·주택가격·거주계획” 이 세 가지 기준으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오늘 실천 가이드
✅ 부부합산 소득 확인하기
✅ HF·기금e든든 시뮬레이션 돌려보기
✅ 신혼부부·청년 우대 적용 여부 체크